춤으로 세상과 대화를 하던 사람이 갑자기 몸을 쓸 수 없다면 어떻게 될까? 박민선 대표는 교통사고가 난 이후 춤을 출 수 없게 되자, 필라테스 강사가 되어 자신과 아픈 사람을 치유했다. 필라테스와 춤은 타인을 행복하게 만드는 도구이다. 무대 위의 열정적인 춤으로 관객을 기쁘게 했던 것처럼 아픈 사람을 치유하며 그들의 인생을 행복하게 만들고 있다. 아직도 배우고 싶은 것이 많아 잠잘 시간도 부족하다는 박민선 대표를 만났다.

남을 행복하게 하는 무대 위의 춤사위

초등학교 시절 친구 집에 놀러 갔다가 친구가 한국무용과 발레 레슨을 받아 춤추는 모습을 처음 보았다. 그 순간 얼음. 부모님을 졸라서 어렵사리 무용을 시작했는데, 춤을 출 때 남들이 기뻐하고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좋았다. 부모님의 반대가 심했던 무용이었으니 무용을 향한 마음은 애틋한 짝사랑 같은 것이었다.

대학교 진학 이후 어떤 무용을 공부하셨나요? 제게 맞는 춤이 무엇일까 탐구하며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으로 오가다가, 대학교 3학년 때 현대무용으로 다시 돌아갔어요. ‘내 마음대로의 감정을 내 마음대로 표출하는’ 현대무용에서 자유를 얻은 느낌을 받았거든요. 그리고 “네가 그렇게 원한다면, 춤을 정말 그렇게 추고 싶다면, 유학을 보내주겠다”라던 부모님의 믿음 덕분에 대학교를 졸업하고 뉴욕 NYU로 유학을 떠났어요. 한국이라는 보수적인 사회에서 벗어나서 뻥 뚫리고 싶었는데, 미국에선 정말 더 자유롭게 구속되지 않은 춤을 출 수 있었어요.

뉴욕에서 췄던 춤은 무엇인가요? 94년부터 98년까지 4년 동안 뉴욕대에서 석사 과정을 하는 동안 이선옥 교수를 만나 지금껏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춤을 탄생시켰고 미국 전역으로 순회공연을 다니기도 했어요. 그 새로운 춤의 형태는 프랑스의 <르몽드>와 미국의 <뉴욕타임스>에 관련 내용이 실리기도 했는데, 실로 파격적이고 실험적인 ‘젠댄스(Zen dance)’라고 불렸죠.
우리의 전통악기인 가야금과 현대식 신시사이저 등 다양한 악기의 음악이 결합하고, 현대무용 위에 선무가, 무술 등을 더해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 냈어요. 기존의 예술을 벗어나고, 종교를 넘어선 듯한 움직임과 연주를 하니 매우 난해하면서도 그 울림이 커서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 냈고, 저희도 마무리하면서 서로 울었던 기억이 있어요.

뉴욕에서 춤을 추며 어떤 마음이었나요? 26살 즈음 뉴욕대에서는 ‘워싱턴 스퀘어’라는 무용단에서 공연을 하는데, 세계적인 무용가인 마사 그레이엄 무용단 수석안무가가 와서 작품 오디션에 저를 뽑았고 저는 잘해야겠다는 부담감이 있었어요. 악마로 분해 바닥을 구르고, 뛰고, 쿵쾅거리는 동작을 계속했는데, 사실 그때 임신 초기라서 될지 몰랐지만 압박 붕대를 감고 무대 위에서 춤을 췄어요. 그래서 <뉴욕타임스>에 “박은옥(박민선 대표의 본명)은 무서울 정도의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다”라고 보도가 되기도 했죠.

교통사고 후 내 몸을 치유한 필라테스

이렇게 춤이 오직 자신을 대변하는 언어이고, 소통의 방법이 된 사람에게 큰 시련이 닥쳤다. 98년 박사 과정에 들어가려고 할 때 교통사고를 당한 것이다. 장시간 누워 있을 수도 없을 만큼 육체적 고통이 컸고, 급기야 몸에 마비가 오고 저리기까지 하니 춤을 춘다는 것은 엄두를 낼 수 없었다. 춤만 추던 사람에게 형벌 같은 시간으로, 우울증이 걸리고 극단적인 충동까지 들 만큼 암흑의 시기였다.

무용을 하시다가 필라테스를 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과 우울감이 저를 잠식하던 그 때, 미국의 주치의가 재활 치료의 한 방법으로 필라테스를 권했어요. 그 당시에는 “그게 뭔가요?”라고 물을 정도로 구체적인 내용은 전혀 알지 못했어요. 다행히 NYU를 나온 분 중에 필라테스를 하는 분이 있어서 찾아가서 정보를 구해 봤더니,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를 극복하고 춤을 다시 출 수 있게 되었어요. 이때부터 필라테스를 해야겠다는 사명감에 사로잡혔죠. 필라테스의 창시자 조셉 필라테스(Joseph Pilates)가 운영하던 뉴욕 필라테스 스튜디오로 찾아가 지도자 자격증(Classcal Pilates)을 취득했어요.

필라테스를 시작하면서 힘들었던 일은 없었나요? 제가 필라테스를 시작하던 당시 미국에서도 스포츠센터, 피트니스가 막 태동하던 때라 취직을 하면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해 미국의 한 스포츠센터에 취업을 했어요. 그런데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더라고요. 영어를 원어민만큼 원활하게 하는 것도 아니고 자격증을 따자마자 취업을 했으니 가르치는 수준도 초보 정도였거든요. 그러다보니 굳이 동양인 여자에게 레슨을 받겠다는 사람이 한 달 내내 아무도 나타나질 않았어요. 출근해서 회원도 없이 멀뚱멀뚱 시간을 보내던 날이 많았는데 그 때 좀 힘들었죠.

필라테스 분야에서 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술을 7번 하고 척추측만을 가져서 몸이 굳어 버린 분이었어요. 몸 여기저기에 철심도 박고 있었죠. 조금만 해도 “아프다, 못 움직인다”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니 아무도 가르치려고 하지 않는 어려운 클라이언트가 돌다 돌다 어쩔 수 없이 저에게 온 거였어요. 저는 그분이 첫 클라이언트니 어떻게든 병원에 보내지 않고 치료하겠다고 마음먹고는, 기존의 지식으로는 가르칠 수가 없어서 공부를 다시 시작했어요. 어떻게 하면 좋아질까, 어떻게 하면 몸에 철심이 박혀도 자세가 바뀌고 좋아질까 매일매일 그 궁리만 했죠. 결과는 성공이었어요. 이후 아픈 사람을 병원으로 보내지 않는다는 소문이 나서 클라이언트들이 찾아오기 시작했고 아침 3시에 일어나서 밤 10시까지, 하루 15시간을 일했어요.

해도 해도 끝이 없는 공부

몸에 철심을 박은 사람도 몸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나니, 이제는 누가 와도 두려움이 없었다. 그곳에서 6년이 지나 ‘누구든 내게 오라’라는 자신감이 생기고 인기 강사가 되었지만, 한국으로 돌아와 살고 싶은 마음이 커졌다. 그때 한국에는 요가가 점점 알려지고 있을 때라 필라테스의 치료법과 효능을 소개해서 더 많은 사람이 나아지길 희망했다.

한국으로 돌아와서는 어떤 일들을 하셨나요? 제가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필라테스는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어요. 요가 대신 왜 필라테스를 해야 하느냐고 반문하고, 비용이 부담스럽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았죠. 저는 그 가치를 알고 회원들이 찾아올 때까지 열심히 준비하며 기다렸어요. 그리고 필라테스의 재활 효과에 대해 점점 소문이 나자 휠체어를 탄 사람들까지 찾아오기 시작했어요.
그렇지만 필라테스에 대한 공부를 하면 할수록 자신이 얼마나 부족한가를 깨닫게 되었어요. 공부에 대한 갈구함이 커져서, 2014년에는 충남대에서 박사 과정에 들어가 학업을 계속하고 있어요. 제가 쌓은 다양한 경험들을 텍스트화된 논문으로 남겨 사람들에게 공유해 주고 싶어요. 그리고 어려운 처지에 있는 청년들이 필라테스를 배운 뒤 강사가 되어 센터를 오픈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돕고 있습니다.

무용을 전공한 것이 지금 하는 일과 인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남을 행복하게 하고 싶다는 열망이 있었어요. “원장님 덕분에 몸이 나아졌어요”라는 말을 들으면 춤을 출 때만큼 행복함을 느껴요. 나로 하여금 상대방이 행복해하니까요. 무대에서 춤을 출 때와 마찬가지죠. 무용을 전공했으니 몸을 움직일 줄을 알기에 무용수들의 많은 어려움을 빠르게 고쳐 줄 수 있고 대화를 통해 격려와 사랑을 아낌없이 해 줄 수 있어요.

박민선 대표는 요즘도 춤을 춘다. 만삭이 되었을 때는 비보이들과 협동 공연도 펼쳤다. 춤을 추다 힘들어하거나 부상을 당한 후배들이 찾아오면 그들의 말에 공감하고 위로의 말을 건넬 뿐 아니라, 오래 춤을 출 수 있도록 셀프 관리법도 전한다. 아파 봤으므로 전할 수 있는 공감의 말이 담겨 있다. 그녀는 치유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테라피스트다.

인생UP데이트

직접적인 직업과 간접적인 직업이 있고, 이 둘을 함께 하고 있어요. 필라테스를 가르치면서 무용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몸을 건강하게 해 주고 일 년에 한 번 정도 춤도 추고 공연도 하고 연출도 해 봅니다. 지금은 본업과 취미가 바뀌었지만요. 평생 할 수 있는 기술을 연마해 보는 건 어떠세요? 처음에는 힘이 들었지만 직접적인 직업이 생기고 나면 여유가 생겨서 다시 나만의 춤을 찾으러 갈 수 있으니까요. 굽히지 말고 달리되 눈을 들어 목표를 정하고 달리기를 바랍니다.

박민선 프로필
약력
- 수원대학교 현대무용 전공
- New York University 무용 & 무용 교육 대학원 졸업
- New York Ballet Art School 수료
- Martha Graham School 수료
- 브로드웨이센터, 댄스스페이스, 호세 리몽 댄스센터, 엘빈엘리스쿨 교육 이수
-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원 박사 수료

주요 활동
- <엄마와 나> 두리춤터에서 공연 예술감독 및 출연(2015)
- 前 충남대학교, 국민대학교, 중앙대학교 필라테스 출강
- 前 Pure Pilates 대표
- 前 New Jersey Cando Fitness Club 강사
- 前 New York Washington Square Contemporary Dance Company 무용수
- 前 Zen Dance Company 무용
- 現 ㈜더코어 대표 원장(호텔프리마 더코어필라테스)
- 現 살롱퍼포먼스 기획사 대표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