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의 현재
2021년 3월, <매일: 새로운 5000일>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이라는 비플의 NFT 작품이 크리스티 온라인 경매에서 6900만 달러에 낙찰됐다. 미술시장에서 작품이 수천만 달러 가격에 거래되는 것이 그리 드문 일은 아니다. 그러나 비플은 그렇게 유명한 작가도 아니고, 그의 작품이 엄청 주목을 받아오지도 않았다는 점에서 이슈가 되었다. 비플 작품의 소유권을 저장한 대체불가능 한 토큰(NFT)이 이렇게 높은 가격에 거래되자 많은 이들의 눈길을 끌었다. 세상에 한 점 밖에 없는 그림을 7000만달러에 구매했다면 해당 작품의 디지털 이미지 또는 사진을 보는 사람들은 이 작품을 실제 감상할 수는 없다. 그러나 NFT 작품은 복제된 NFT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이 그 원본을 가진 사람과 똑같은 디지털 이미지를 감상한다는 것임을 감안하면 높은 금액에 NFT 작품이 거래되는 것이 사실 잘 이해가 가지는 않는다.
비플의 작품이 비싼 가격에 팔린 이후, NFT 작품은 다양한 방식으로 대중문화 속으로 스며들기 시작했다. Saturday Night Live (미국의 TV 코미디)에서 풍자되기도 했으며, 래퍼 스눕독, NBA 슈퍼스타 스테판 커리 등 유명인사들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제는 NFT 거래 플랫폼(오픈씨 Opensea, 니프티 게이트 웨이 NiftyGateway, 탑샷 Topshot 등)에서 NFT가 매주 수 억달러 규모의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2020년부터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날아올랐던 NFT 시장은 2022년 초 급격한 하락세를 맞이하였다. 많은 사람들의 예상 또는 바람과 달리 가치가 없을 것 같다는 의견이 지배하기 시작했다. 도대체 NFT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논란이 이는 것일까? 본 기고에서는 NFT의 정의과 개념 그리고 예술산업에서의 적용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NFT의 정의 및 개념
NFT는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증명하는 일종의 디지털 등기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부터 우리의 삶은 디지털화가 시작되었고, 스마트 기기들이 보편화되면서 삶의 디지털화는 피할 수 없는 인류의 발전 방향이 되었다. 그렇지 않아도 디지털 세계로 옮겨가고 있던 우리의 삶이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서 그 이동이 더욱 빨라지게 되었다. 결국 우리는 예상보다 빠르게 온라인 삶의 터전인 메타버스에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상황에 놓였다.
디지털 세계에서는 부동산이 존재할 수 없다. 부동산은 움직일 수 없는 자산인데 디지털은 모든 자산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파일의 형태라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자산은 움직일 수 있는 동산이다. 문제는 아날로그 세계에서 동산의 소유권은 그 자산을 물리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이 갖게 된다. 디지털 세계에서는 파일의 소유자가 서버를 소유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점유했던 파일의 소유유무를 증명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어떤 형태로든 등기가 필요하다. 부동산 등기는 국가기관이 법정절차에 따라서 등기부에 부동산의 표시 또는 권리를 기재하는 것 또는 기재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 등기를 통해 부동산을 실제로 점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내 것이라고 증명할 수 있다. 디지털 세계에서는 자산이 파일의 형태로 있다면 서버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상 그 물건을 점유하는 것과 소유하는 것이 분리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이러한 소유권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NFT, 즉 Non-Fungible Token가 등장하였다. 온라인에 존재하며 동산인 디지털 파일에 대해 국가기관인 등기관청이 등기해 주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에서 등기관청과 국가가 하는 보증 역할을 블록체인 기술이 대신하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NFT가 의미를 갖는 이유는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등록을 위한 첫 시도이기 때문이다. NFT 기술이 미래에도 계속해서 쓰일지는 알 수 없으나, NFT 기술은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소유권 등록을 위한 첫번째 기술이기 때문에 앞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증명에 NFT가 우선적으로 적용될 것이다. 이미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술적 인프라를 다른 기술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대체기술이 월등하게 우월해야 함을 감안하면 NFT는 분명 우리 사회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NFT와 문화예술산업
일반적으로 디지털 세계인 메타버스에서의 삶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흔히 현실세계에서 영위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디지털의 세계에서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디지털 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은 문화예술 콘텐츠밖에 없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에서 아이스크림을 먹는다면 사실 나는 아이스크림을 먹고 있는게 아니라 나 또는 다른 이의 아바타를 바라보는, 즉 영상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메타버스에서 내가 야구를 한다면, 내가 몸을 움직이건 콘솔을 조작하건, 실제 야구가 아닌 디지털 형태의 야구 게임 콘텐츠를 즐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디지털 세계에서의 삶은 문화예술 콘텐츠와 뗄 수 없다. 아니 문화예술 콘텐츠가 현재로는 우리가 가진 디지털 세계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디지털 세계에서 소유할 수 있는 자산 또한 콘텐츠가 대부분이고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기술인 NFT가 계속해서 문화예술 산업과 연계되는 것이다.
NFT의 의의는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등록을 위한 첫 시도에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그런데 NFT의 소유권을 등록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의 대부분은 문화예술 콘텐츠다. 결국 디지털 문화예술 콘텐츠의 소유권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NFT나 또는 그에 준하는 기술을 이용해야만 한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문화예술 콘텐츠 산업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계속되는 한 NFT와 한 배를 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현재 NFT 시장은 지나치게 과열되어 있다. 또한 NFT의 가치가 그 NFT가 소유권을 증명하는 디지털 자산의 가치에서 온다는 사실을 망각한 채 NFT 기술을 이용했다는 사실에 열광하여 그 가치를 과대평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NFT는 디지털 문화예술 콘텐츠의 소유권을 증명해주고 거래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술적 매개체에 불과하다. 우리는 이 사실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
필자소개
홍기훈 교수는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부교수이자 메타버스금융랩 소장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를 마치고 자본시장연구원과 시드니공과대학교경영대에서 근무했다. 학계에 오기 전 대학자산운용펀드, 투자은행 등에서 일하며 금융에 관한 다양한 실무경력을 쌓았다. 주 연구 분야는 계량경제, 계량금융, 자산운용, 위험관리, 대체투자다. 이에 더해 지난 10여 년간 블록체인, NFT, 가상자산, 메타버스, AI, 빅데이터 등의 혁신기술로 연구 분야를 확장해 왔다. 특히 혁신기술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금융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예술금융과 ESG 또한 연구하고 있다.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