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인문극장’ 공식 포스터
▲ ‘두산인문극장’ 강연에 참여한 관객의 모습
|
‘인문+극장’이라는 결합
이 글을 쓰기 위해 책상에 앉기까지 꽤 시간이 걸렸다. 2013년 3월 11일부터 6월 29일까지 3개월 남짓 진행된 ‘두산인문극장 2013: 빅 히스토리’(이하 ‘두산인문극장’) 행사에 대한 리뷰를 염두에 둔 것이니만큼, 행사의 목적과 의의, 프로그램 구성, 진행 과정 및 성과 등을 정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점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공연장이라는 공간에 굳이 인문학을 끌고 들어오게 된 계기가 어떤 것인지를 밝히는 일도 필요할 것이다. 처음엔 이쯤은 그다지 어렵지 않은 일이라 생각했지만 두 가지 생각이 자꾸만 글쓰기의 시작을 가로막았다.
첫째, 내가 이 행사의 기획자 가운데 하나라는 점이다. (‘두산인문극장’은 두산아트센터와 (주)문지문화원이 공동으로 기획한 행사다.) 기획자 가운데 하나이니만큼 행사 전체의 흐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지 않겠는가 하는 반문도 있을 수 있겠으나, 행사가 시작되기 전에 쓰는 안내문이라면 모를까 행사가 마무리된 시점에서 기획자 스스로가 행사를 공개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하는 건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부득이 꼴사나운 자화자찬의 형태가 될 수밖에 없다. 물론 ’두산인문극장‘이 공연, 전시, 영화상영, 강연을 포괄하는 행사였던 탓에 특정 분야의 필자가 행사 전체를 리뷰하기가 쉽지 않으리란 점을 잘 알고 있다(이 가운데 어느 것도 ’부대행사‘가 아니었고 각각은 상이한 관심을 지닌 여러 층의 관객이 선택적으로 접근하게끔 기획되었다). 예컨대, “오카다 토시키의 포스트 3.11 연극 <현위치>(2012)와 루시엔 캐스텡-테일러와 베레나 파라벨의 포스트 시네마 <리바이던>(2012)과 기록사진의 증거 기능을 지탱하는 지표적 계기(indexical moment)란 결국 수사적이고 담론적인 효과”라고 주장한 존 탁 교수의 이론적 강연 사이의 거리는 - 거칠게 말해, 각각의 영역에서 급진적 혹은 전위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예술 혹은 이론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 일견 쉬이 좁히기 힘들 만큼 멀어 보인다.
둘째, 동시대 인문학 열풍이 ‘라이프스타일로서의 인문학’의 가치를 설파하기 급급한 가운데, ‘두산인문극장’이 그 유행에 편승하지 않고 다른 길을 제시했다면 과연 ‘어떤 모습인가’라는 의문에 스스로 답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했다. 더불어 인문학은 예술을 교양으로 걸치려 들고, 예술은 인문학의 ‘심오함’을 빌려 위신을 세우고자 여념이 없으니, ‘인문+극장’이라는 결합은 설득력 있는 변호 없이는 지탱하기 힘든 조어라는 생각도 들었다. ‘두산인문극장’ 행사의 초기 기획 단계에서 이러한 고민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행사가 모두 마무리된 시점에서 그간의 결과들을 두고 이상의 의문에 답한다는 건 또 다른 문제다. 다만 앞서 예로 든 오카다의 공연, 영화 <리바이어던>, 존 탁의 강연 등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 ‘두산인문극장’은 인문학과 예술을 대중에게 ‘알기 쉽게’ 가공해 전달하는 일에만 그치지 않고, 때로는 동시대 예술과 사유의 최전선을 곧바로 관객 혹은 청중 앞에 제시함으로써 모종의 ‘충격’을 불러일으킬 것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두산인문극장’이 통상적인 아트 페스티벌의 형식을 띤 행사였다면 이 같은 고민은 필요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기획자, 아티스트, 평론가가 페스티벌이라는 하나의 숙주 내에 공동으로 기식하는 일이 드물지 않은 한국 예술계에서, 어떤 페스티벌에 대한 평가는 거의 전적으로 그 기식자들의 네트워크가 얼마나 강력한가에 따라 좌우되곤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중적 학술강연 시리즈와 ‘다원적’ 아트 페스티벌이 조금씩 혼합된 (강연의 주제 또한 천문학, 생물학, 화학, 지리학, 역사학, 사진학, 네트워크 이론 등으로 다양했다) ‘두산인문극장’은 애초부터 기식이 가능한 숙주로서 기능하기엔 불충분하기 짝이 없었다. 이건 서로 상이한 영역에서 떨어져 나온 요소들이 잠시 모였다 헤어지는 장소였다고나 할까.
|
|
▲ ‘두산인문극장’ 상연 프로그램인 <현위치>(왼)와 <서울연습 - 모델 ,하우스>(오) |
저마다의 ‘인문극장’을 세우기 위해
지금으로서는 자평(自評)이 자화자찬에 가까워지는 걸 경계하면서 ‘두산인문극장’이 염두에 둔 ‘인문+극장’의 결합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혹은 앞으로 어떠해야 하는지를 간략히 밝혀두는 게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일 것이다. 이 결합을 위해 우선 우리는 극장이란 공연예술(만)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라는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야 했다. 그리고 극장(theater)을 그 어원에 있어 친연관계에 있음이 분명한 이론(theoria)의 장소로 끌고 가면서, 동시대 과학적, 인문학적 사유의 스펙트럼을 ‘빅 히스토리’(거대사)라는 틀 안에 다소 성기게 펼쳐놓고 각각의 사유와 느슨하게 맞닿아 있는 공연, 영화, 전시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데이비드 크리스천의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는 애초부터 이론적, 학문적 방법론으로서보다는 대안적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고안된 것이다). 각각의 프로그램들을 가로지르면서 자신만의 별자리를 짜는 작업은 전적으로 ‘두산인문극장’을 찾는 관객의 몫으로 남겨두기로 했다. 가령 이명현 교수의 빅뱅에 대한 강연과 이덕환 교수의 생명의 기원에 대한 강연은 우주적 시간과 실존적 시간 사이의 간극을 모티프로 삼은 안드레이 우지카의 영화 <현재의 바깥에서>(1999)와 오카다 토시키의 공연 <현위치>와 더불어 하나의 ‘세트’로 묶였다. 이러한 세트 구성이 적절했나 하는 물음에 대해 행사를 마치고 난 ‘지금’, ‘이곳’에 글을 쓰고 있는 내게는 답변할 자격이 없다고 봐야 옳겠다. 다만 강연 프로그램과 공연, 전시, 영화상영 프로그램 간의 연계가 보다 직관적이도록 설계되어야 했고, 강연자들이 예술 프로그램에 여러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두었어야 한다는 아쉬움이 드는 건 사실이다.
앞으로도 ‘두산인문극장’은 인문학적 상상력을 섣불리 공연에 끌어들이거나(기껏해야 사이비 철학에 불과한 것을 거창한 제목으로 포장한 공연들), 인문학을 유희적 퍼포먼스와 결부시키려는(‘인문학 콘서트’에서 가장 저열하게 표출되는 인문학 대중화) 시도에는 거리를 둘 것이다. 그러한 시도들은 관객 혹은 청중 각각의 관심에 따라 시간을 두고 그들의 마음과 머리에서 서서히 이루어지게 될 이질적인 영역 간의 만남의 가능성을 믿지 못하는 조급증에서 비롯된다. ‘인문학적 극장’도 아니고 ‘극장화된 인문학’도 아닌, ‘인문’과 ‘극장’이 서로 뒤섞이지 않은 채 각자의 모습을 또렷이 간직하며 공존할 때, 오직 그 경우에만 사람들은 저마다의 ‘인문극장(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사진제공_두산아트센터
관련자료
[두산인문극장2013] 강연 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