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투] 초보프로듀서의 고군분투 네트워킹
김미선 _ 독립프로듀서
|
필자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영아트프론티어 활동으로 '아시아 민요 프로젝트'(Asian Folk Song Project)를 기획,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아시아를 다녀왔다. 어떻게 이 짧은 기간 동안, 그 긴 세월이 담겨있는 진짜 노래들을 다 만날 수 있을까? 시작은 2006년 국립극장 아시아문화동반자 특별공연 <아시아, 우리들의 향기>였다.
훼 음악원장과의 만남
베트남은 세로로 긴 나라이다. 짧은 기간 동안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훼를 중심으로 한 중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를 모두 아우르기에는 힘든 일이었다. 하여 아시아문화동반자에 참여했던 전통악기 연주자 느구이엔 티 마이 사오의 소개로 베트남 역사문화의 중심으로 알려진 훼를 선택하였고, 마침 전통예술축제가 있어 금상첨화였다. 전통공연 찾아 클라탄까지
말레이시아는 말레이 문화부터, 이슬람 문화, 섬 문화, 중국문화 등 상당히 다양한 문화를 갖고 있는 나라다. 역시 한국에서 만난 전통악기 연주자 로슬란 빈 하룬의 소개로 보르네오섬에서 매년 있는 레인포레스트 월드뮤직페스티벌에 참가했고, 이후에는 쿠알라룸프르에 있는 이스타나 부다야를 중심으로 네트워킹을 진행했다. 민요도 녹음하고, 작곡가, 연주자도 소개받았지만, 진정한 전통공연을 관람할 수가 없었다. 미얀마의 민요를 직접 음반에 담다
한국에 체류했던 양곤대학 교수 유 라잉 윈멍의 주선으로 방문한 미얀마에는 민요 관련 CD가 아예 없었다. 1900년대 초반에 유행했던 가요CD는 구할 수 있어도 민요관련 자료는 거의 없는 듯 했다. 하여 윈멍 교수는 스튜디오 녹음을 제안했고, 나는 흔쾌히 응했다. 그는 미얀마 줄인형극의 대가 우슈키(U Shue Kyi)를 소개해주기도 했다. 그러나 사업규모에 대한 차이와 네트워킹에 대한 견해에는 차이가 있었다. 축제에서의 만남이 현지 네트워킹으로태국의 방송프로듀서 니티 바티우티퐁과는 2009년 프랑스 샤를르빌 세계인형극축제에서 만났던 것이 인연이 되었다.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여행준비를 하면서 계속 얘기를 많이 해서였을까. 많은 성과가 있었던 방문이었다. 니티의 주선으로 태국 전통음악의 전반적인 소개뿐만이 아니라, 마히돌대학교 교수님, 다양한 월드뮤직 그룹, 인형극단 등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향후 네트워크를 다지는 것까지 수월한 편이었다. 오랜 인연은 아니었지만, 서로 정성스럽게 준비를 해온 결과라고 생각한다. 공연 진행에서 만난 오키나와 음악의 핵심
오키나와는 민요의 섬이었다. 나하시에 있는 대표적 번화가인 국제거리에 있는 민요관련 극장 및 레스토랑만 해도 수십 개가 넘는다고 했다. 그럴 만도 했다. 거리가 온통 산신Sanshin, 오키나와 민요를 부를 때 함께 연주하는 일본전통악기 사미센과 비슷한 악기소리로 가득했다. 많은 사람들 중에서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했다. 관광행사에 지친 아시아 공연예술인들시작은 막연한 호기심과 친분에서 출발했지만, 한 단계씩 나아갈수록 함께 할 수 있는 이야기는 구체화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만난 동남아시아 공연예술인들은 적극적인 교류와 네트워킹에 목말라있었다. 관광행사에 초점을 둔 일회성 이벤트 같은 교류에 지쳐있었고, 장기적인 네트워킹을 고대하고 있었다. 구슬도 꿰어야 보배인 것처럼, 네트워크도 움직이고, 확장되어야 생존할 수 있다.
이제 곧 12월이면 홍대에서 이번 프로젝트의 쇼케이스를 갖는다. 내가 만난 아시아 친구들도 몽골에서, 오키나와에서 먼 걸음을 해주기로 했다. 이 기회가 또 다른 재미있는 네트워크를 만드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NO.101_2010.11.04 |
덧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