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보는예술시장] 비영리공연장의 고객지향성과 성과의 관계

고객지향성은 극장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안성아 _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교수

모든 산업에서 고객지향성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특히 소비자들이 잘 모르는 하이테크 산업이나 예술적 창의성이 중요한 문화산업에서는 고객들의 니즈를 선도하는 '나를 따르라(Follow me!)' 전략이 효과를 볼 수 있다.

경영학에서는 고객지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고객을 잘 이해하게 되어 고객만족을 높일 수 있고 더불어 기업의 성과도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대기업들은 고객지향성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리서치에 엄청난 예산을 쓰고 있다. 문화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대중적인 영화로 세계 시장을 장악하는 할리우드의 메이저 스튜디오들은 1980년대 후반 리서치 방법론을 처음 도입한 이후 매년 수천만 달러의 예산을 마케팅 조사에 쏟아 붓고 있다. 물론 내부적으로 리서치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관계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막대한 예산을 쓰는 것은 리서치가 영화 제작자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준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든 산업에서 고객지향성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일부 산업에서는 오히려 고객 지향성이 지나치면 타성에 젖을 수 있어서 고객을 무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된다. 특히 소비자들이 잘 모르는 하이테크 산업이나 예술적 창의성이 중요한 문화산업에서 그러한데, 이러한 산업에서 신상품을 개발할 때는 고객 의견을 따르기보다 기업이 고객들의 니즈를 선도하는 '나를 따르라(Follow me!)' 전략이 효과를 볼 수 있다.


고객지향성, 비영리 극장 성과에 부(-) 영향

보스&보스(Voss and Voss)의 연구논문 「예술 분야에서 전략적 지향성과 기업 성과의 관계」(2000)는 예술적 혁신을 지향하는 비영리 공연산업에서 이러한 현상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들은 100여 개의 비영리 공연장을 대상으로 고객 지향성이 공연장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객지향성은 각 공연장이 얼마나 관객의 선호를 중요시하는지 그리고 이를 위해 얼마나 관객 리서치를 하는지를 물어보아 측정하였다(부록 참조). 분석모델로는 회귀모형(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회귀모형은 결과변수(공연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주는 통계모형으로, 연구자들은 '고객지향성' 외 여러 변수들을 영향요인으로 포함시켜 공연장의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객지향성은 공연장의 회원 티켓 판매량, 총수입 그리고 순수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를 보면 우리의 관심사인 고객지향성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추정계수가 단일티켓 구매자를 제외하고 다른 성과 변수들과는 모두 부(-)의 관계인 것을 볼 수 있다. 즉, 혁신적 예술을 추구하는 공연장에서 관객 리서치를 많이 하고 관객의 요구를 공연 선택에 반영할수록 회원 관객 수는 줄어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총수익과 순수익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여주었다.



Y = b0 + b1Q +b2SC + b3PO +b4CO +b5AO +e
Y : 공연장 성과(회원 관객 수, 총수입, 순수익), Q : 공연장 공연물의 품질 (관리자의 판단) 
SC : 공연장의 좌석 규모, PO : 제품지향성, CO : 경쟁자지향성, AO : 고객(관객)지향성, e : 오차항
  회원 관객 수 단일티켓 관객 수 총수입 순수익
좌석규모(SC) 0.60* 0.65* 0.63* 0.19*
품질(Q) 0.02 0.08 0.05 0.15*
제품지향성(PO) 0.11 0.01 0.05 -0.03
경쟁자지향성(CO) 0.27* 0.20* 0.11* -0.22*
고객지향성(AO) -0.19* 0.07 -0.16* -0.20*
[표1] 비영리 공연장 성과의 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회귀모형 추정결과(일부)
출처 : 예술 분야에서 전략적 지향성과 기업 성과의 관계

* 유의수준 0.1에서 의미가 있음. 즉, 추정계수가 의미를 가질 확률이 90% 이상임
**위 추정계수가 (+) 값을 가지면 이는 두 변수 간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것이며, 계수의 절대값이 클수록 영향정도가 커짐을 의미함. 즉, 회원 관객 수 모형에서 좌석규모의 계수 0.60은 공연장의 좌석 1자리가 늘었을 때 회원관객 수가 0.6명이 늘어난다는 것을 뜻함(단위가 좌석, 명일 것을 전제로 할 때).


할리우드, 작품 완성단계에서 관객 리서치

그렇다면 공연산업에서 관객 리서치는 필요 없는 것일까? 다시 할리우드 영화산업의 리서치를 살펴보자. 할리우드에서 행해지는 리서치 방법론이 다른 산업의 리서치와 차이점이 있다면 신작에 대한 고객의 니즈(욕구)를 파악하는 개발 단계보다는 이미 만들어진 시나리오나 영화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보는 작품평가 단계에 리서치 예산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탈고한 시나리오에 대해 관객들의 의견을 물어보는 표적집단면접법(FGI)이나 완성된 영화를 일반인에게 보여주고 관객들의 반응을 묻는 테스트 스크리닝(test screening-일종의 시사회)이 대표적이다. 흥행을 추구하는 메이저 스튜디오 제작자들은 리서치 결과를 반영하여 스토리의 어색한 부분을 편집하거나 재미없는 장면을 삭제하는 등 관객의 목소리를 시나리오와 영화에 반영한다. 관객들이 어떤 작품을 제작할지에 대해 의견을 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만들어진 작품에 대한 관객들의 평가는 신뢰할만하다고 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을 거쳐 세계 영화시장을 겨냥한 블록버스터들이 탄생한다.


혁신성이냐 대중성이냐 따라 고객지향성 의미 달라

결국 공연산업도 어떤 지향성을 가지냐에 따라 벤치마킹할 점이 달라질 것이다. 대중적인 공연으로 객석을 꽉 채우고 싶은가? 그렇다면 윤곽이 드러난 작품에 대해 일반관객들의 반응을 계속 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예술성이 높은 혁신적 공연을 추구한다면, 대중의 의견보다는 관객을 선도할 예술가의 비전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이것이 이 분야에서는 또 다른 의미의 고객지향성이다.



[참고] 보스&보스(2000)의 영향요인 측정항목
요인 측정항목
공연장의 제품 지향성 우리는 항상 참신하고 잘 만들어진 공연과 대본을 찾고 있다.
우리는 새로운 공연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우리의 예술적 사명 중 핵심은 혁신적인 새로운 작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공연장의 고객 지향성 공연을 선택할 때 관객의 선호보다는 예술적 요소를 더 고려한다.
관객 선호가 공연 선택에 주요한 요인이다.
앞으로 보고 싶은 공연을 찾기 위해 관객 서베이를 실시한다.
공연장의 경쟁자 지향성 경쟁공연장의 기금조성 활동에 관심을 기울인다.
경쟁사의 관객 개발 전술들을 눈여겨보고 있다.
다른 공연장에서 어떤 공연들이 성공하는지 모니터한다.

참고문헌
로버트 매리치, 김상훈, 안성아 역,『영화마케팅바이블』북코리아, 2009
Voss, Glenn B. and Giraud Voss,「Strategic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an Artistic Environment」Journal of Marketing, 64(Jan), 67-83. 2000




안성아  

필자소개
안성아는 KAIST에서 경영공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및 영상비즈니스 전공 부교수로 문화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마케팅을 강의하고 있다. 번역서『문화예술기관의 마케팅』『영화마케팅바이블』을 비롯해「한국영화에서 스타의 신호역할과 재무적 가치」(2007)「음반 판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05)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weekly 예술경영 . 정보라이선스 정보공유라이선스 2.0

덧글 1개

덧글입력

  • 꿈꾸는자
  • 2009-09-15 오전 10:31:24
음.. 고객지향성이 극장 성과에 좋지 않을 수도 있다니.. 살짝 놀랐습니다. 확실히 다시 생각해봐야 할 부분인 것 같네요..[Del]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