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미술용어 |
표기 (권고안) |
국문 실경산수화
영문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한문 實景山水畵
중문 实景山水画
일문 実景山水画
|
비고/구분 |
회화 |
개념정의 |
우리나라의 자연경관과 명승지를 소재로 한 산수화이다.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발달의 토대가 되었다. 고려시대 작품으로는 1007년에 제작된 전공지(田拱之)의 제주도 <서산도(瑞山圖)>를 비롯해 북송(北宋) 화단에서도 높이 평가하였던 이녕(李寧)의 <예성강도(禮成江圖)>와 <천수사남문도(天壽寺南門圖)> 그리고 작자미상의 <진양산수도(晋陽山水圖)>, <송도팔경도(松都八景圖)>, <금강산도> 등이 전한다. 이러한 고려시대 실경산수화의 전통은 조선 초기로 이어져 새 왕조의 기상과 위용을 드높이려는 의식과 사대부들의 ‘승경낙도(勝景樂道)’하는 풍조가 더해져 더욱 확산되었다. 소재도 다양해져서 명승명소(名勝名所), 별서유거(別墅幽居), 야외아집(野外雅集) 등의 다양한 유형이 나타났다. 실경산수화를 잘 그린 조선시대 화가는 최경(崔涇), 배련(裵連), 안귀생(安貴生), 이신흠(李信欽), 이징(李澄), 한시각(韓時覺), 조세걸(曺世傑) 등으로 대부분이 화원(畵員)이었다. 조선 중기부터 김시(金禔), 이경윤(李慶胤), 조속(趙涑)과 같은 문인화가들도 실경산수화를 다루기 시작하였다. 화풍은 현재 전하는 작품이 드물어 구체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기록적이고 기념적인 제작 의도를 구현하기 위한 화면 구성과 동시에 정형산수화풍의 영향을 수용하여 전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사상 등이 가미되고 남종화법(南宗畵法)의 영향이 확산되면서 조선 후기에 크게 성행한 진경산수화풍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개념정의(영문) |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silkyeong sansuhwa) is a genre of painting to portray landscapes of existing mountains or rivers. It usually represents the dwelling or summer house belonging to a literati figure, in particular often picturing a country garden or outdoor picnic. The term slkyeong sansuhwa refers only to landscape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or early and mid-Joseon Dynasty, as the landscape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round the eighteenth century are distinctively called “true-view” landscape painting (jinkyeong sansuhwa.) |
개념정의(중문) |
指描绘山水实景的绘画,主要题材有风景名胜、文人的乡间庭院或别墅、士人雅集等。通常指高丽时代和朝鲜早、中期的绘画,朝鲜后期的部分作品则称为真景山水画。 |
개념정의(일문) |
実在の山や水辺の風景を描いた絵画。主に名勝地、田園の中にある士人の居所や別荘、士人が野外で集う場面等を素材として扱った。一般的に高麗時代と朝鮮王朝初中期に描かれた絵を指して朝鮮王朝後期に描かれた一部の作品は真景山水画という。 |
관련용어 |
교차/연관/유사어 |
846 실경산수(實景山水), 실경화(實景畵), 산수화(山水畵)
|
관련 인물 |
전공지(田拱之), 이녕(李寧), 최경(崔涇), 배련(裵連), 안귀생(安貴生), 이신흠(李信欽), 이징(李澄), 한시각(韓時覺), 조세걸(曺世傑), 김시(金禔), 이경윤(李慶胤), 조속(趙涑)
|
관련 단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