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미술용어 현대 공예
구분 미술용어
표기
(권고안)
  • 국문

    현대 공예
  • 영문

    contemporary crafts
  • 한문

  • 중문

    现代工艺美术
  • 일문

    現代工芸
비고/구분 공예
개념정의 엄격하게는 해방 이후의 공예를 말하지만 개념적으로는 1970년대를 전통과 현대의 분기점으로 본다. 이 시기에 도자공예 분야에서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중심의 전시회가 개인전 위주로 바뀌면서 작가의 개성적인 표현이 강조되었고, 일부에서는 기능을 완전히 배제하는 실험적인 제작 경향이 대두되었다. 조형적인 형식미의 추구는 탈기능의 오브제화로 나아갔고 이는 공예 개념에 대한 논의를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었다.
개념정의(영문) Strictly speaking, the term contemporary crafts refer crafts produced after the transition to the Independence. However, generally the 1970s is considered as a marking a definite turning point toward a contemporary craft practice, as most producers of elite crafts in Korea moved from favoring traditional to “modern” stylistic approaches in their work. In ceramic art, for instance, during this period the national context of exhibition changed from being based on prominent group shows, such as the Korean National Art Exhibition, to solo exhibitions to emphasize a given craft person’s individuality. For many artisans, the experimental process to eliminate function entirely became influential. The pursuit of the formal beauty of the object was developed relative to this quality of “non-function” and led to a new conversation around the concept of crafts.
개념정의(중문) 严格来讲,指1945年解放之后的工艺美术,但从概念意义的角度来看,1970年代是传统工艺美术与现代工艺美术的分界线。之所以这一时期成为转折点,是因为之前发表陶瓷工艺作品的主要展览是“大韩民国美术展览会”,然而从1970年代开始,随着艺术家们更喜欢举办个人展,更加强调个性化表现,一些在质料中完全摆脱功能作用的作品也由此出现。这种重视形态而忽略功能的趋势引发了对“工艺”概念的新争论。
개념정의(일문) 厳密には1945年以降の工芸を指すが、概念的には1970年代を伝統と現代の分岐点と見る。この時期、陶磁工芸分野において国展中心の展示会から個展中心へと変化が起こり、作家の個性的な表現が強調され、一部では機能を完全に排した実験的な制作の傾向が台頭した。造形的な形式美の追求は脱機能のオブジェ化へと展開され、これは工芸の概念に関する議論を新たな局面へと導いた。
관련용어
교차/연관/유사어
관련 인물 신상호정담순(鄭潭錞)최승천(崔乘千)
관련 단체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