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미술용어 | ||||||
---|---|---|---|---|---|---|---|
표기 (권고안) |
|
||||||
비고/구분 | 회화 | ||||||
개념정의 | 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중반에 한국에서 나타난 극단적인 사실묘사를 하는 회화의 한 경향이다. 한국적 하이퍼리얼리즘 또는 극사실로 지칭되었으나 작가들의 거부로 신형상 회화라는 명칭이 등장했다. 평론가 김복영은 1970년대의 단색화에 대한 반발로 1980년대에 형상 운동이 일어났으며 신형상 회화는 1990년대 미술의 다양한 형상화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 ||||||
개념정의(영문) | A genre of painting characterized by extremely realistic representation, that emerged in Korea during the mid-1970s and remained influential until the mid-1980s. The genre was also labelled hyperrealism or Korean hyperrealism, but the artists’ rejection of the “hyperreal” label led to the coining of the term neo-figurative painting. According to art critic Kim Bok-yeong, this figurative movement of 1980s emerged in opposition to the prominence of Dansaekhwa during the 1970s. The influence of neo-figurative painting can be seen in the various figurative styles of art that developed in Korea during the 1990s. | ||||||
개념정의(중문) | 指20世纪70年代中期至80年代中期在韩国出现的具有极端写实倾向的绘画。起初被称为韩国式超写实主义或高度写实主义,但由于画家们的反对,出现了“新形象绘画”这一名称。评论家金福荣认为,为反对20世纪70年代的单色画,80年代发生了形象化运动,新形象绘画又对90年代韩国艺术出现的具象化趋势产生了影响。 | ||||||
개념정의(일문) | 1970年代半ばから1980年代半ばまでの韓国における極端的な事実描写をする絵画の一傾向である。韓国的ハイパーリアリズムまたは極写実と呼ばれたものの、該当の作家らはこの名称を拒否し、新形象絵画という名前が登場した。評論家の金福栄(キム・ボクヨン)は1970年代の単色画に反して1980年代に形象運動が起き、新形象絵画は1990年代美術の多様な形象化傾向に影響を及ぼしたと捉えた。 | ||||||
관련용어 |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