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미술용어 | ||||||
---|---|---|---|---|---|---|---|
표기 (권고안) |
|
||||||
비고/구분 | 조각 | ||||||
개념정의 | 바탕면에 요철(凹凸)을 만드는 조형 표현으로, 조소 또는 판화에서 쓰이는 기법이다. 평면 위에 표현된다는 점에서는 회화에 가깝지만 입체적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조각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형상이 돌출된 정도에 따라 고부조(高浮彫), 저부조(低浮彫), 반부조(半浮彫)로 구분되며, 형상을 바탕면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기법을 돋을새김 또는 양각(陽刻), 바탕면보다 깊이 새겨 표현하는 기법을 오목새김 또는 음각(陰刻)이라고 한다. | ||||||
개념정의(영문) | An artistic technique in which protrusions and depressions are created on a flat surface. The technique is used in printmaking and sculpture. Depending on height of the protrusions, reliefs are categorized as alto-reliefs (alto rilievo), mezzo-reliefs (mezzo rilievo), and bas-reliefs (basso rilievo). In another method of categorization, if the image protrudes from the surface, it is known as a relief or cameo, and if the image is carved into the surface, it is known as a hollow relief or intaglio. | ||||||
개념정의(중문) | 指在表面制造凹凸的造型表现,是在雕塑或版画中经常使用的技法。虽然在“平面表现”上接近绘画,但在“立体表现”上则属于雕塑的一种。根据形状突出的程度可分为高浮雕、低浮雕、半浮雕,形状从底面突出的技法称为浮雕或阳刻,表面下挖的技法称为凹雕或阴刻。 | ||||||
개념정의(일문) | 平面に凹凸を造る造形表現で、彫塑又は版画において用いられる技法。平面の上に表現されるという点では絵画に近いが、立体的に表現されるという点で彫刻の一種に分類される。形象が突出した度合いに応じて高浮彫り、薄浮彫り、半浮彫りに区分され、形象を基準面より浮き上がらせる技法を彫り上げ又は陽刻、基準面より深く彫って表現する技法を彫り込み、又は陰刻という。 | ||||||
관련용어 |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