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미술용어 | ||||||
---|---|---|---|---|---|---|---|
표기 (권고안) |
|
||||||
비고/구분 | 회화 | ||||||
개념정의 | 수묵화와 함께 묵법(墨法)이라 불리는 다양한 먹 사용 기법이 발달했는데, 그러한 묵법 중 하나이다. 먼저 먹을 묽게 칠한 뒤 조금 더 짙은 먹을 반복해서 칠하는 기법이다. 먹을 쌓아간다는 뜻에서 적묵(積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먹의 색조를 풍부하게 하고, 양감을 표현할 수 있다. 이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화가로는 변관식(卞寬植)이 유명하다. | ||||||
개념정의(영문) | Layered ink technique is a process used in the creation of ink-and-wash painting. It is based on the repeated application of layers of ink painted gradually from a lighter to darker depth. Because it creates layers of ink, it is named “jeokmuk” (meaning “accumulated ink”). The technique enriches color and expresses volume. Painter Byeon Gwansik (1899–1976) is known for his active use of the technique. | ||||||
개념정의(중문) | 随着水墨画的发展,各种用墨技法出现。积墨是其中之一, 指用墨由淡而浓、逐渐渍染的技法。该技法需层层加墨,因此取名为积墨。使用积墨法既可以体现苍辣厚重的体量感,又可以使墨色生动。卞宽植是积极使用该技法的著名画家之一。 | ||||||
개념정의(일문) | 水墨画と共に「墨法」と呼ばれる、墨を使用した様々な技法が発達したが、そうした墨法の一つである。まず墨を淡く塗ってから、もう少し濃い墨を繰り返し塗る技法である。墨を積み重ねていくことから「積墨」と名付けられた。墨の色調を豊かにし、量感が表現できる。この技法を積極的に活用した画家としては、卞寬植(ピョン・グァンシク)が有名である。 | ||||||
관련용어 |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