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미술용어 진경 산수화
구분 미술용어
표기
(권고안)
  • 국문

    진경 산수화
  • 영문

    "true-view" landscape painting (jingyeong sansuhwa)
  • 한문

    眞景山水畵
  • 중문

    真景山水画
  • 일문

    真景山水画
비고/구분 회화
개념정의 조선 시대 후기에 유행한 한국의 경관을 그린 실경산수화이다. 대부분이 기록화의 성격을 지닌 이전 시기의 실경산수화와는 달리 그림의 소재가 되는 장소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효과적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는 점, 중국의 산수화와는 다른 한국 고유의 화풍을 보인다는 점 등으로 이 시기에 그려진 실경산수화를 진경산수화로 구분해 부른다. 실학(實學)과 기행(紀行) 문학의 유행, 민족의식의 성장 등이 문화적 배경으로 거론된다. 금강산과 강원도 일대, 서울 근교의 명승지(名勝地)가 많이 그려졌다. 정선(鄭敾)은 이 그림의 전형을 수립한 화가로 평가받는다. 강희언(姜熙彦), 심사정(沈師正), 이인상(李麟祥), 정수영(鄭遂榮), 김홍도(金弘度) 등과 같은 조선 시대 후기의 화가들이 이 그림으로 분류되는 작품을 많이 남겼다. 조선 시대 회화를 대표하는 그림으로 평가받으며, 대중적으로도 잘 알려졌다. 정선의 「금강전도(金剛全圖)」와 「인왕제색도(仁旺霽色圖)」 등이 유명하다.
개념정의(영문) A traditional style landscape painting based on the realistic impression of natural scenery within Korea. Such paintings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Unlike the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silgyeong sansuhwa) of the previous eras, which had only som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paintings, “true-view” landscape painting took an interest in the actual site of the subject and focused on its effective depiction. They also displayed an art style unique to Korea, which differed from Chinese landscape paintings, and so the term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s used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wider tradition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silgyeong sansuhway). The popularity of Silhak and travel-writing alongside a heightened sense of nationalism are considered as crucial factors that informed the popularity of these paintings. The paintings commonly depicted famous sites in Mount Geumgang, Gangwon-do, and Seoul. Jeong Seon is considered the artist that particularly formalized and popularized the genre. Artists that produced many paintings in the genre include Kang Hui-eon, Shim Sa-jeong, Lee In-sang, Jeong Su-yeong, and Kim Hong-do. These paintings exemplify Joseon dynasty art, and they were apparently well-known even by many common people. Jeong Seon’s Geumgangjeondo and Inwangjesaekdo are famous examples of the genre.
개념정의(중문) 指盛行于朝鲜时代后期的实景山水画,描绘了韩国的现实景观。此前的实景山水画大部分都具有记录画性质,但真景山水画则注重空间的客观性,并试图尽量提高该景观的再现性,呈现出与中国山水画不同的独特风格。因此,把这一时期的实景山水画又称为“真景山水画”。其出现背景有“实学”的兴起和游记文学的盛行、民族意识发展等。主要描绘了金刚山和江原道一带、首尔郊区的风景名胜等。郑敾被评价为确立这一题材的典型风格, 姜熙彦、沈师正、李麟祥、郑遂荣、金弘道等朝鲜时代后期的画家们留下了不少真景山水作品,被评价为朝鲜时代广为人知的典型绘画形式。代表性作品有郑敾的《金刚全图》、《仁旺霁色图》等。
개념정의(일문) 朝鮮時代後期に流行した、韓国の景観を描いた実景山水画。そのほとんどが記録画の性格を持つそれ以前の時期の実景山水画とは異なり、絵画の題材となる場所に関心を持ち、これを効果的に再現するために努力したという点、中国の山水画とは異なる韓国固有の画風が見られる点などにより、この時期に描かれた実景山水画を他と区別して「真景山水画」と呼んでいる。実学と紀行文学の流行、民族意識の成長などがその文化的背景に挙げられる。金剛山と江原道一帯、ソウル近郊の名勝地が多く描かれた。鄭敾(チョン・ソン)は、この絵画の典型を打ち立てた画家として評価されている。姜熙彦(カン・ヒオン)、沈師正(シム・サジョン)、李麟祥(イ・インサン)、鄭遂榮(チョン・スヨン)、金弘度(キム・ホンド)といった朝鮮時代後期の画家たちが、この絵画に分類される作品を多く残している。朝鮮時代の絵画を代表する絵と評価され、大衆的にもよく知られている。鄭敾(チョン・ソン)の「金剛全図」や「仁旺霽色図」などが有名である。
관련용어
교차/연관/유사어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  금강산도(金剛山圖)
관련 인물  정선(鄭敾), 강희언(姜熙彦), 심사정(沈師正), 이인상(李麟祥), 정수영(鄭遂榮), 김홍도(金弘度)
관련 단체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