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교육 |
---|---|
표기 |
|
이칭/별칭 | 정관미술연구소 |
소개 | 김복진이 1936년 4월에 사직공원 정문의 동북쪽 언덕길에 있는 2층 양옥 건물에 마련한 아틀리에에서 개설한 한국 최초의 사설 조각 교육시설이다. 김복진은 도쿄미술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효자동에 고학생들을 위한 장소를 운영하였고, 종로 와이엠시에이(YMCA) 내에 미술 연구소를 창설하기도 했다. 1937년에 『여성』 8월 호에 실린 인터뷰 기사에 의하면, 미술 연구소의 수강생은 10여 명이었는데 1937년에 개최된 조선미술전람회에 8명이 입선을 했을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문석오, 이국전, 윤승욱, 김정수 등이 김복진미술연구소의 수강생들이다. 김복진이 세상을 떠난 뒤에 김복진미술연구소를 운영하던 이국전이 신당정 333번지에 경성미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유화와 조각 수강생을 모집하였다. 김창열이 경성미술연구소에서 그림을 배웠다. |
비고 |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 한국미술사 사전 1800-1945』 (최열, 열화당, 1998) |
관련용어 | 김복진(金復鎭)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