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인명 |
---|---|
활동분야 | 화가 |
활동분야 세부사항 | 안석주(1901~1950, 호 석영(夕影))는 서울에서 태어나 교동보통학교와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일본 도쿄의 혼고양화연구소에서 유화를 배워 와 화가, 삽화가이자 비평가로 활동했으며, 『동아일보』, 『시대일보』, 『조선일보』에서 일하면서 신문과 잡지에 삽화와 만문만화를 많이 그렸다. 문화예술인들이 모인 극단 토월회 창립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1923년에는 박영희, 김복진 등이 주도한 파스큘라에 참가했고, 1925년에는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카프)에도 참여하였다. 1927년에 미술감독 겸 배우로 영화계에 들어가 영화 <노래하는 시절>, <바다여 말하라>, <춘풍> 등의 대본을 썼으며, 1937년에는 영화 <심청>을 연출했다. 1939년 이후에는 일제의 침략전쟁을 옹호하는 활동을 하기도 했다. 광복 후에도 영화계에서 주로 활동하였으며 1947년에는 서울중앙방송국에서 제작한 3·1절 기념 어린이 노래극 <우리의 소원은 독립>의 주제가인 <우리의 소원>을 작사했다. 그의 1920년대 말 만문만화는 당대의 자본주의적인 시대상과 식민지하의 규율 등을 날카롭게 비판하면서도 해학적이고도 과장된 표현으로 대중적인 시각문화를 생산해 냈다. |
작가명 |
|
영문표기별 출처 |
|
관련용어 |
미술 평론(美術評論)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