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미술용어 아방가르드
구분 미술용어
표기
(권고안)
  • 국문

    아방가르드
  • 영문

    Avant-garde
  • 한문

  • 중문

    先锋派、前卫(Avant-garde)
  • 일문

    アヴァンギャルド
비고/구분 일반
개념정의 권위적인 전통이나 지배적 질서를 거부하는 인물이나 작품, 경향을 뜻한다. 본래는 군사 용어였으나 20세기에 들어 사회, 정치, 문화, 예술 분야를 포괄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미술에서는 페터 뷔르거(Peter Bürger)가 제1차세계대전 후에 유럽에서 부흥한 다다, 구축주의, 초현실주의 등을 ‘역사적 아방가르드’라 부르며 이를 삶, 미술과 다시 통합하려는 시도로 이해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급진 정치를 지향하는 동시에 미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무정부주의나 보헤미안적 태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1920~1930년대에 일본에서 ‘전위미술’이라는 용어와 구축주의, 다다, 초현실주의 등의 개념을 받아들여 이를 한국 화단에 소개하였다. 신흥미술이라는 용어로도 지칭되었는데 ‘세기 초의 새로운 미술운동’을 번역한 것이다. ‘전위’라는 용어는 1927년을 전후로 정치적 목적을 지닌 용어로 사용되다가 1938년에 조오장이 ‘미술에서의 전위’를 주장한 글을 『조선일보』에서 발견할 수 있다. 김환기의 <론도>나 유영국의 구축주의적 작품은 초기의 한국 아방가르드 계열의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아방가르드라는 용어와 관념이 한국의 미술가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통용된 것은 1950~1960년대였다. 그러나 반공주의 체제 속에서 급진 정치의 추구보다는 전통을 거부하거나 최신 미술의 경향을 추구하는 태도와 더 깊이 연관되었고, 그러한 태도는 1960년대 말에 다양한 실험적 미술의 등장으로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1970년대에 전위가 서구 미술의 무분별한 추종과 퇴폐적 제스처로 비판받으면서 아방가르드의 가치는 하락하게 되었다.
개념정의(영문) A term that refers to a revolutionary artist or a work of art that is deliberately engaged in the creation of new ideas and forms, and often also set against the current or traditional elite contexts of artistic production. In French, the term was originally used in military context to refer to soldiers situated on the frontline of the battle; the most devasting “shock” troops. In the 20th century, the notion of frontline, avant-garde action has since expanded in meaning to encompass all of the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artistic spheres, following the discursive notion that all are indelibly linked. After World War I, Peter Bürger described Dadaism, Constructivism, and Surrealism as the “Historical Avant-Garde,” taking all these movements as an interlinked revolutionary attempt to within modernism to progressively integrate life and art. Following this precedent, the term has often been used to refer to any cultural or ideological attitudes that promote radical politics as well as emphasize artistic autonomy. The term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art community through Japan, which adopted the notion of avant-garde in relation to styles such as Constructivism, Dadaism, and Surrealism during the 1920s and 1930s. The term and concept of avant-garde entered common use among Korean artists between the 1950s and 1960s. Perhaps due to the extreme anti-communist political and social sentiment of the period, rather than embodying any radical political orientation, the Korean avant-garde was linked more with the rejection of tradition and the pursuit of the latest artistic trends. This attitude peaked in the late 1960s with the emergence of diverse styles of experimental art. In the 1970s, however, this avant-garde concern was criticized as a blind and culturally debased imitation of historical Western precedent. This has led to a decline in the conceptual and political value attached to the idea of avant-garde art within Korea.
개념정의(중문) 指拒绝具有权威的传统或支配性秩序的人、物、作品的倾向。最初是军事用语,进入20世纪后被广泛应用于社会、政治、文化、艺术等各个领域。在艺术界,彼得·柏格(Peter Bérger)将一战以后在欧洲复兴的达达主义、建构主义、超现实主义等统称为“历史上的Avant-garde”,并试图将生活与美术重新结合。一般来讲,既表示激进政治,同时也带有强调艺术自律性的无政府主义或波希米亚态度的含义。20世纪20至30年代,韩国吸收了在日本使用的“前卫艺术”一词,并将其与建构主义、达达主义、超现实主义等概念一起引入韩国画坛。“Avant-garde”这一词汇和观念则是在50,60年代才被韩国的艺术家们广泛接受。但在反共主义的背景下,比起表现激进政治思想的含义,先锋派与拒绝传统、追求新潮艺术的态度关系更加密切。这种现象在60年代末随着各种实验性艺术的登场达到顶峰。但在70年代,随着“前卫”一词被批评为是西方艺术的盲目追随和颓废姿态,“Avant-garde”的价值也开始下降。
개념정의(일문) 権威を持つ伝統や支配的秩序を拒否する人物や作品を意味する。本来は軍事用語だったが、20世紀になって社会、政治、文化、芸術分野を包括する用語として広く使用された。美術においてはペーター・ビュルガー(Peter Bürger)が、第一次世界大戦後にヨーロッパで復興したダダ、構築主義、シュールレアリスムなどを「歴史的アヴァンギャルド」と呼び、これを暮らしと美術を再び統合しようとする試みであると理解している。一般的に、急進政治を志向すると同時に美術の自主性を強調するアナキズムやボヘミアン的態度を意味することもある。韓国においては、1920~1930年代に日本から「前衛美術」という用語と構築主義、ダダ、シュールレアリスムなどの概念を受け入れ、これを韓国画壇に紹介した。アヴァンギャルドという用語と観念が韓国の美術家の間で本格的に通用しはじめたのは、1950~1960年代のことであった。しかし、反共主義体制の中で急進政治の含蓄よりは伝統を拒否したり最新の芸術傾向を追求する態度とより深く関連し、そうした態度は、1960年代末に多彩な実験的美術の登場によって絶頂期に至る。しかし、1970年代に前衛が西洋美術の無分別な追従と退廃的ジェスチャーであるとの批判を受けて、アヴァンギャルドの価値は下がることになる。
관련용어
교차/연관/유사어 전위미술(前衛美術)
관련 인물 김환기(金煥基)유영국(柳永國)  조오장
관련 단체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