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구분 미술용어
표기
(권고안)
  • 국문

    삽화
  • 영문

    illustration (sapwa)
  • 한문

    揷畵
  • 중문

    插图
  • 일문

    押絵
비고/구분 일반
개념정의 신문, 잡지, 책의 글 속에 삽입하여 내용을 보완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린 그림이다. 넓은 의미로는 책이나 잡지 표지, 컷, 광고미술 그리고 시각적 효과를 높이는 장식적 무늬도 포함한다. 현대에는 그림뿐 아니라 사진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삽화는 미술의 하위 분야로서가 아니라 인쇄 기술 발전에 따른 서적 발전사의 흐름 속에서 탄생했다. 근대 이전에는 목판화 기법을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근대에는 신문소설 삽화가 대표적인데 1912년에 『매일신보』의 연재소설 「춘외춘」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초기에는 주로 일본인이 그렸고 1920년대 초가 되면서 한국 미술인들이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1920년대 초에 삽화가로 활동한 미술인으로는 안석주(安碩柱), 노수현(盧壽鉉), 이상범(李象範), 이승만(李承萬), 김복진(金復鎭), 이용우(李用雨) 등이 있다. 안석주가 이 중에서 제일 먼저 삽화를 그리기 시작했으며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하였다.
개념정의(영문) A type of image included alongside the text of newspapers, magazines, and books to supplement or aid the comprehension of the content. Broadly speaking, the term also includes book or magazine covers, artworks inserted in books, and advertising art as well as the decorative patterns intended to enhance visual effect across commercial material culture. In the present day, the term illustration incorporates not only drawings, but photographs as well. Illustration emerged not as a subdiscipline of art, but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books that resulted from the advance of printing technologies. Before the modern era, in Korea most illustrations were produced through woodcut techniques. The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most prominent media format for illustration was the newspaper, using the engraved wood or metal printing technique. Such illustrations first appeared in 1912 in the serial novel Chunwoechun on the Maeil shibo. While Japanese artists were the primary producers of illustrat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colonial period, Korean artists began producing illustrations in the early 1920s. Illustrators active in the early 1920s include Ahn Seok-ju, Roh Soo-hyun, Lee Sang-beom, Kim Bok-jin, and Lee Yong-u. Of these illustrators, Ahn Seok-ju was the first, and his work is the most notable.
개념정의(중문) 指穿插在报纸、杂志、书籍文章中,为进一步补充并帮助理解内容而绘制的图画。广义上还包括书本和杂志的封面、剪影、广告美术,以及提高视觉效果的装饰性花纹等。现代使用范围不仅限于绘画,还包括照片。插画不是美术的下级概念,而是随印刷技术发展而来的书籍发展史潮流中诞生出来的。近代以前大多使用木版画技法。到了近代,报纸、小说插画是最具代表性的形式。1912年在《每日新报》的连载小说《春外春》中首次登场。初期主要由日本人来画,20年代初开始由韩国美术家创作。20年代初作为插画家活动的主要美术家有安硕柱、卢寿铉、李象范、李承万、金复镇、李用雨等人。其中最早开始画插画的是安硕柱,他也是诸多插画家中最为活跃的人物。
개념정의(일문) 新聞、雑誌、書籍の文章の中に挿入して内容を補い、理解を助けるために描かれた絵。広い意味では書籍や雑誌の表紙、カット、広告美術、そして視覚的効果を高める装飾的図柄も含まれる。現代では、絵だけでなく写真を使用する場合も多い。挿画は、美術の下位分野ではなく、印刷技術の発展に伴う書籍発展史の潮流の中で誕生した。近代以前は、木版画技法を使用したものがほとんどだった。近代では新聞小説の挿画が代表的で、1912年に『毎日申報』の連載小説「春外春」において初めて登場した。当初は主に日本人が描き、1920年代の初めになると韓国の美術家らが制作しはじめた。1920年代初頭に挿画家として活動した美術家には、安碩柱(アン・ソクチュ)、盧壽鉉(ノ・スヒョン)、李象範(イ・サンボム)、李承萬(イ・スンマン)、金復鎭(キム・ボクチン)、李用雨(イ・ヨンウ)などがいる。安碩柱がこの中で最も早く挿画を描きはじめ、最も目立った活動を行った。
관련용어
교차/연관/유사어 일러스트레이션
관련 인물 김복진(金復鎭)노수현(盧壽鉉)안석주(안석영; 야스다 사카에)(安碩柱(安夕影; 安田榮))엄정순(嚴貞淳)이상범(李象範)이용우(李用雨)
관련 단체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