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미술용어 시각 문화
구분 미술용어
표기
(권고안)
  • 국문

    시각 문화
  • 영문

    visual culture
  • 한문

    視覺文化
  • 중문

    视觉文化
  • 일문

    視覚文化
비고/구분 일반
개념정의 순수 미술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맥락에서 인간에 의해 생산된 다양한 시각적 재현 활동 및 그 산물을 일컫는 용어이다. 시민사회의 발전과 과학 기술의 발전, 상품의 대량생산과 소비,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대중문화와 여가 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양한 시각적 인공물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등장이 감각 체험과 인식 구조에 변화를 가져왔다. 시각문화는 이와 같은 요인들을 배경으로 미술계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미술을 비롯하여 영화, 비디오, 텔레비전 등의 영상과 사진, 포스터, 만화, 광고 등의 시각 생산물 그리고 그 생산을 야기하는 담론, 제도 등을 포함한다. 1970년대 이후에 미술의 자율성과 전통적 미술사 방법론을 거부하고 이미지 생산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근거해 미술 작품에 접근하는 신미술사학(New Art History)의 영향으로 주목받았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에 현실과 발언, 미술비평연구회 등의 미술 단체가 그 이론적, 실천적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1990년대 이후에 미술사 연구의 대상으로 자리 잡았다.
개념정의(영문) A term that can refer to all visual dimensions of human culture, including the fine arts. The modern era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scientific technology, mass production, and urbanization has all influenced the expansion of popular culture and recreational culture. Thi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an expanding diversity of visual artifacts, and related changes in sensory modes of experience and epistemological structures of production and reception. Visual culture, in this context, has emerged as a subject of discourse within the art and academic community. The category of visual culture therefore commonly incorporates visual creations including not only art, but film, video, and television media and photographs, posters, cartoons, and advertisements, and the concepts and ideologies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that inform such. The academic interest in visual culture emerged in the 1970s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New Art History,” which rejected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and instead concentrated o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of production. In Korea, art organizations such as Reality and Utterance and the Research Society for Art Criticism explor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otential of visual culture after the 1980s, and after the 1990s, visual culture was established as a subject of research in Korean art history.
개념정의(중문) 从更为宽泛的层面上,将包括纯粹美术在内,人类生产的各种视觉再现活动及其产物统称为视觉文化。随着市民社会的发展和科技的进步,商品的大量生产和消费,以及城市化等因素的影响,大众文化与休闲文化不断扩散,各种视觉上的人造产物不断增加,带来了感官体验和认识结构的巨大改变。视觉文化在此背景下成为艺术界讨论的对象。主要包括美术、电影、录像、电视、照片、海报、漫画、广告等视觉产品;以及与产品生产相关的讨论、制度等。20世纪70年代以后,新艺术史学(New Art History)拒绝艺术的自律性和传统艺术史方法论,并根据艺术生产的社会、政治语境来分析作品。受其影响视觉文化得到了人们的关注。韩国在80年代以后,“现实与发言”、“美术批评研究会”等艺术团体从理论和实践两方面探讨了其可能性,90年代以后作为艺术史研究的对象固定下来。
개념정의(일문) 純粋美術を含む、より広いコンテクストにおいて生産された視覚的再現を指す用語。市民社会の発展と科学技術の発展、商品の大量生産と消費、都市化などの影響により、大衆文化とレジャー文化が広まり、様々な視覚的人工物が登場し、こうした登場が感覚体験と認識構造に変化をもたらした。視覚文化はこのような複雑な諸要因を背景に、美術界において議論の対象として認識された。美術をはじめ映画、ビデオ、テレビジョンなどの映像や写真、ポスター、漫画、広告などの視覚生産物、そしてその生産を誘起する言説、制度などを含む。1970年代以降、美術の自主性と伝統的な美術史方法論を拒んでイメージ生産の社会的、政治的コンテクストに基づいて美術作品にアプローチする新美術史学(New Art History)の影響により注目された。韓国においては、1980年代以降に現実と発言(ヒョンシルグァパロン)、美術批評研究会などの美術団体がその理論的、実践的可能性を探り、1990年代以降に美術史研究の対象として定着した。
관련용어
교차/연관/유사어
관련 인물
관련 단체 현실과 발언(-)미술비평연구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