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 |
---|---|
표기 |
|
이칭/별칭 | - |
소개 | 산업사회의 모순과 미술계의 보수성을 비판하며 미술가와 평론가가 모여 1979년에 조직한 단체로, 4·19 혁명(1960) 20주년 기념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결성되었다. 미술이 현실을 말하고 이면의 모순을 드러내야 한다는 현실주의적 태도를 강조했다. 대중문화 이미지를 복제나 차용의 방식으로 활용했으며 사진, 판화, 만화, 복제화, 콜라주 등의 방식도 도입했다. 이를 통해 한국 현대 사회가 당면한 시각 이미지의 범람, 도시화의 문제, 그리고 한국사회와 문화의 식민적 현실을 다뤘다. |
비고 | 『현실과 발언』(열화당, 1985); 『정치적인 것을 넘어서: 현실과 발언 30년』(김종길, 현실문화, 2012) |
관련용어 |
민중미술(民衆美術)
,
몽타주()
,
새로운 미술운동()
,
시각 문화(視覺文化)
,
출판 미술(出版美術)
,
팝아트()
,
현실주의(黨派的 現實主義)
김용태, 김정헌, 노원희, 민정기, 백수남, 신경호, 심정수, 손장섭, 오윤, 임옥상, 주재환 등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