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단체 |
---|---|
표기 |
|
이칭/별칭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카프(KAPF), 프로예맹 |
소개 | 1925년 8월에 프롤레타리아예술가들이 사회주의 예술을 표방하며 결성한 단체이다. 1920~1930년대 한국 사회에서 계급투쟁과 민중을 위한 문예운동을 주도했다. 단체명의 에스페란토 표기법(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의 앞 글자를 따서 카프(KAPF)라고도 한다. 1922년에 토월회, 염군사, 1923년에 파스큐라 회원들이 합동하여 조직하였다. 강령은 '우리는 단결로서 여명기에 있는 무산계급문화의 수립을 기함'이었고 중앙위원은 김복진, 김기진, 이량, 박영희, 최승일, 안석주였다. 1927년 9월 조직개편 때 서무부에 윤기정, 출판부에 최학송, 조직부에 홍효민, 조사부에 김복진, 교양부에 박영희를 선임하였고, 10월부터 도쿄 지부, 간도 지부를 비롯하여 전국 각 지역에 지부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기관지 발행, 극단 조직, 파업 전단과 벽보 제작, 평론 기고, 전람회 개최 등의 활동을 펼쳤다. 내부 논쟁으로 두 차례에 걸쳐 활동 방향을 전환하며 조직을 정비했다. 일본 제국의 수차례에 걸친 탄압으로 1935년 5월에 김남천, 임화, 김기진이 해산 신청서를 조선총독부에 제출하며 사명을 다하고 말았다. |
비고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윤홍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6); 『한국근대미술의 역사』(최열, 열화당, 2015), p.192, p.217 |
관련용어 |
프로 미술()
,
주체미술(主體美術)
권구현(權九玄), 김기진(金基鎭), 김복진(金復鎭), 박영희(朴英熙), 안석주(安碩柱), 이상화(李相和), 임화(林和), 정하보(鄭河普)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