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
---|---|
표기 |
|
소개 | 문인화가인 윤영기(尹永基)가 전통 서화의 계승을 위한 후진 양성과 서화의 수집, 전시를 목표로 1911년에 서울 중학동에 세운 교육기관이다. 설립 과정에서는 이완용(李完用), 조중응(趙重應), 조민희(趙民熙)와 같은 친일 고관들에게 후원을 받았고, 설립 이후에는 이왕가(李王家)에게 재정적인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계속되는 경영난으로 이완용을 회장으로 하는 서화미술회(書畵美術會)로 운영권이 넘어갔다. 경성서화미술원은 서화미술회의 실질적 전신이 된다. 이후 서화미술회에서 노수현(盧壽鉉), 변관식(卞寬植), 김은호(金殷鎬), 이상범(李象範) 등과 같은 근대기의 대표적인 수묵채색화가들을 배출하였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경성서화미술원을 미술교육 기관의 기반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
비고 | 「경성서화미술원」(『두산백과』); 「서화미술회」(이경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7) |
관련용어 | 김은호(金殷鎬) , 노수현(盧壽鉉) , 박승무(朴勝武) , 오일영(吳一英) , 이상범(李象範) , 이용우(李用雨) , 최우석(崔禹錫) 강진희(姜璡熙), 강필주(姜弼周), 김응원(金應元), 안중식(安中植), 이도영(李道榮), 정대유(丁大有), 조민희(趙民熙), 조석진(趙錫晋), 조중응(趙重應)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