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교육 |
---|---|
표기 |
|
이칭/별칭 | - |
소개 | 1945년 10월 22일에 창립한 경주문화협회가 대중계몽 사업으로 설립한 예술 전문학교이다. 1946년 5월 5일에 개교할 무렵에는 음악과와 미술과가 개설된 2년제 학원이었으나 1948년에 경주문화협회의 재정난으로 음악과가 잠정 폐쇄되었고, 1949년에 만송재단이 학교를 인수한 이후에 3년제 미술학교로 승격되었다. 개교 때부터 손일봉, 김준식이 미술과 교수로 부임하였고 1949년에 배운성, 진환, 이응로, 유진명 등과 같은 홍익대학교 미술과의 교강사가 합류하였으며, 한국전쟁 중에도 학교가 운영되었다. 1949년 5월에 1회 졸업생, 1952년 3월에 2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미술과는 1946~1947년에 해방기념전람회, 1947년에 학교 창립 1주년 기념전, 1949년에 졸업 전시회, 1952년 6월에 개교 5주년 기념 전람회 등 다양한 전람회를 개최하였다. 폐교 시점은 불분명하지만 1952년 후반부터 1953년 사이에 폐교된 것으로 보인다. |
비고 | 「경주예술학교의 설립과 전개과정」 (이애선,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7) |
관련용어 | 김만술(金萬述) , 김영기(金永基) , 배운성(裵雲成) , 손일봉(孫一峰) , 윤효중(이토 고조)(尹孝重(伊東孝重)) , 이응노(李應魯) 1901 유진명(兪鎭明), 이의성(李義星), 주경(朱慶), 최기석(崔磯錫), 손수택(孫秀澤), 현성각(玄聖珏), 김창억金昌億), 우문국((禹文國)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