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단체 |
---|---|
표기 |
|
이칭/별칭 | - |
소개 | 1982년에 홍익대학교 출신 작가들을 중심으로 민중미술 이념을 표방하며 출범한 미술 단체이다. ‘현실과 발언’이 취한 서구적 표현법과 개인주의에 반대하면서 특히 민족·민중적인 전통미술을 발굴하여 계승하고 대중적인 표현 양식을 개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들은 ‘자체적인 허무의식으로 죽어 있는 그림, 상품화된 병든 그림으로부터 우리 시대의 대중들의 삶 속에서 살아 숨쉬는 ‘산 그림’을 지향‘하였다. 두렁의 동인지 『산 그림』과 『산 미술』 이라는 명칭도 여기에서 온 것이다. 두렁은 기층민들과 함께하며 생활 현장의 현실성과 그들의 문화적 역량을 기르는 것을 가장 중요한 작업 기반으로 삼았다. 또한 전통 시대의 민중미술이라 생각한 민속에 대한 연구와 수련을 통해 민중의 미적 전통을 민중사적 차원에서 계승하고 작업의 민주화를 위해 공동 작업을 강화하였다. 민족미술의 공동 학습, 공동 벽화 제작, 민족미술 교실 운영, 판화 달력 제작 활동을 진행하며 1987년까지 활동하였다. |
관련용어 |
민중미술(民衆美術)
,
한국미술 20대의 힘전()
,
민중미술: 한국의 새로운 문화운동전()
,
새로운 미술운동()
,
현실주의(黨派的 現實主義)
,
공동체신명론()
,
시점時點·시점視點–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김봉준, 김우선, 김준호, 라원식, 이기연, 이춘호, 장진영 |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