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ㆍ기금ㆍ행사

HOME 다음 새소식 다음 공모ㆍ기금ㆍ행사

기타행사[뮤지엄한미 삼청] 《밤 끝으로의 여행》 전시

공모ㆍ기금ㆍ행사 내용
기간 2025-05-22~2025-08-25
주관 뮤지엄한미
링크 https://museumhanmi.or.kr/
게시일 2024-05-29 조회수 964 작성자 뮤지엄한미





《밤 끝으로의 여행》


2024.05.22. 수 ~ 2024.08.25. 일


‘밤’이라는 주제 아래 미술관의 주요 소장품을 중심으로 구성한 이번 전시는 나이와 국적을 넘어선 다양한 작가를 아우른다. 1900년대 미국 회화주의와 모더니즘 사진의 전형, 유럽 아방가르드와 뉴 비전 운동의 소산, 그 영향 으로 만들어진 한국 전후 시대의 실험 사진과 국내외 현대 사진을 포괄한 작가 32명의 사진과 미디어 작품 100여 점을 선보인다. 이 방대한 궤적의 작품이 선형의 시간순으로 나열되지 않고 밤의 서사 안에서 자유롭게 얽힌다. 전시에서 ‘밤’은 일몰부터 일출 전까지 어둠을 전제한 물리적 시간일 뿐만 아니라, 그 어둠으로 맥락관통할 수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지시한다. 의식과 사유가 펄떡이는 시간이 낮이라면 밤은 침잠한 욕망과 본능을 끄집어 내어 의식의 어두운 심연에 다가가는 시간이다. 해가 지고 잠을 청하면 꿈을 꾸는 연쇄 반응은 밤과 무의식의 필연적 관계성을 드러낸다. 그래서 ‘밤 끝으로의 여행’은 칠흑같이 어두운 밤의 시간을 배회하는 동시에, 언술할 수 없는 무의식의 세계로 진입하는 일이다.

⠀루이페르디낭 셀린의 동명 소설 “밤 끝으로의 여행』은 전쟁을 경험한 주인공인 바르다뮈가 문명 사회와 권력에 환멸을 느끼고 도피하는 심리적 여정을 그린다. 그에게 ‘밤 끝으로의 여행’은 이전의 언어 질서를 버리고 인간의 원초적 본능에 맞닿은 심연으로 향하는 여정이다. 전시 《밤 끝으로의 여행》 또한 두려움과 방황, 충동, 욕망과 결핍 그리고 황홀한 환각으로 점철된 인간 내면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전시와 소설은 맞닿아 있다. 둘은 명징한 의식과 사유에 눈이 멀어 미처 발견하지 못한 어둠의 심원을 향해 견고한 껍질을 하나둘씩 벗겨내며 다가서는 여행이다.

⠀사진은 심연의 언어다. 관습과 문화에 의해 임의로 형성된 언술 언어와 대조되는, 코드 없는 몸짓이다. 기호 체계 밖에 있지만 병의 증상처럼 분명하게 혹은 애매하게 무언가를 표상하고 의미한다. 대상을 가장 사실적 으로 기록함에도 불구하고 언술할 수 없는 이 모호한 시각 언어는 견고한 사유 체계의 위장과 위선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이는 표현 매체다.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이러한 사진의 가능성을 이해하고 무의식을 끌어내기 위해 적막한 어둠 속으로 자신을 몰아넣는다.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어둠의 숲으로, 네온사인이 주위를 밝힌 도시의 밤으로, 암실로, 카메라의 어둠 상자 속으로 자신을 내몰고 카메라의 눈에 의식을 맡긴다. 그렇게 사진가들이 담은 어둠과 의식 너머에 봉인되어 있던 심연의 풍경이 전시 공간에 펼쳐진다.

 


장소

뮤지엄한미 삼청

참여작가

구본창, 권도연, 권아람, 김규식, 김남진, 김인숙, 김재수, 김태동, 다이앤 아버스, 로버트 메이플소프, 마리오 자코멜리, 만 레이, 모 샤, 모리야마 다이도, 브라사이, 빌 브란트, 송영숙, 앤설 애덤스, 야로슬라프 뢰슬러, 양승우, 어빙 펜, 에드워드 스타이컨, 에드워드 웨스턴, 윌리엄 클라인, W. 유진 스미스, 이갑철, 자나 브리스키, 제리 N. 율스만, 핫토리 후유키, 허브 릿츠, 현일영, 황규태 



전시장소뮤지엄한미 삼청본관
전시장주소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9길 45지도보기
오픈시간화~토요일 10:00 ~ 21:00
일요일 10:00 ~ 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관람료일반권 (성인 만18세 이상~만65세 미만 ) 10,000원

할인권 (※ 중복할인 없음)
초ㆍ중ㆍ고 학생(만7세 이상~만18세 미만) 8,000원
미취학 아동(만4세 이상~만7세 미만), 만65세 이상 5,000원
10인 이상 단체 1인당 2,000원 할인

무료
유아(만4세 미만), 복지카드 소지자, 국가유공자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
ICOM카드 소지자
기관명뮤지엄한미 삼청
문의02-733-1315
웹사이트https://museumhanmi..kr/
후원(재)가현문화재단, 한미사이언스, 한미약품
글 작성시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