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거리예술 판도 읽기 – 순회, 교류, 협력
일정: 2025.5.3(토) 11:00-12:30 (90분)
안산국제거리극축제 거리예술 포럼
2025 장르별 시장 거점화 지원 선정사업
거리예술이라는 장르/생태계는 어떤 모습일까.
거리예술의 장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한국 거리예술의 지금: 예술축제를 중심으로 현대 거리예술의 장이 물꼬를 트기 시작했던 2000년대로부터 거리예술 관련 지원 사업과 정책이 생기기 시작한 2010년대를 지나, 2025년 지금의 거리예술 생태계에는 어떤 구성원들이 있는지, 이들은 어떤 방식으로 일하며 작품을 창작하고, 관객을 만나고, 축제를 구성하고 있는지 각 구성원들의 역할을 살핀다. (황혜신)
서커스 국제교류 네트워크: 아시아의 서커스 생태계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유럽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아시아의 서커스 관련 기관 및 단체들이 교류하고 있는 서커스아시아네트워크(CAN)의 사례를 살펴보며, 국제교류를 통해 배우게 되는 것, 함께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일지 상상한다. (김경희)
다정한 아트마켓 만들기: 시장을 만드는 일에 다정한 일이라는 단어를 붙이는 것은 어쩌면 어색한 일일지 모른다. 그런데 만약에 아트마켓이 다정하다면 어떤 일들을 해낼 수 있을까? 협력하며 순환시키는 자리로서의 아트마켓은 어떤 자리들일까 사례와 경험을 나눈다. (백교희)
내가 바라는 거리예술 시장: 거리예술 시장에는 무엇이 있고, 무엇이 없을까. 생태계가 건강하게 운영되도록 돕는 장이 열린다면 우리는 어떤 그림을 상상하게 될까. 예술가의 시선에서 본 거리예술 시장에 대한 분석과 단상, 그리고 새로운 제안들을 이야기한다. (한윤미)
이야기 💬
황혜신 (위워크인투)
김경희 (창작그룹 노니)
백교희 (서울프린지네트워크, 한국거리예술협회)
한윤미 (바람컴퍼니)
질문과 토론 🙋🏻
문수빈 (독립 프로듀서)
조아라 (독립프로듀서, 수원연극축제)
- 주최/주관: 안산시, 안산문화재단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터
- 기획/운영: 프로젝트 다리
문의: projectdari.kea@gmail.com